36세.
공교롭게도 나와 나이가 같다.
한국 나이랑은 좀 다를테니 한 두 살 차이는 있을테지만 그냥 같은 걸로 하자.
그러다 보니 더욱 감정이입이 되었지만, 이상하게도 눈물이 나거나 가슴이 미어짐을 느낀다거나 하지는 않았다.
워낙 문체가 담담해서 나 역시 담담하게 읽어 내려갔다.
누구나 그렇듯 나도 일상을 보내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 삶과 죽음이 맞닿아 있음을 잊고 산다.
태어난 것은 반드시 죽는다.
도무지 예외가 없다.
두렵거나 먼 미래이거나 아니면 아예 별 생각이 없다거나 하는 이유로
하여간 일상 속에서 죽음을 의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.
어쩌면 멀쩡히 잘 살아가는 일상에서 죽음을 의식하고 그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된다면 그건 그거대로 이상할 수 있겠다.
사실 별 기대같은 건 없었다.
저자 스스로 본인의 삶이 꺼져가는 시간을 기록한 에세이라는 것.
이에 꽤나 많은 사람들이 감동을 받은 베스트셀러 순위권 도서라는 것
뭔가 신파일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제목이 참 예쁘다는 생각에 호감(이래서 제목을 잘 지어야 함)
이 정도가 이 책에 대해 내가 갖고 있던 사전 정보였다.
따지고 보면 내용이 무척 절절한데도 읽는 동안 눈물이 나거나 가슴이 미어진다거나 하지는 않았다.
단지 읽는 도중 죽음을 지켜 보았던 기억이 떠올라 마음이 조금 먹먹해졌고,
앞으로 마주하게 될 나와 내 가족의 죽음에 대해 곰곰히 생각해 보게 됐다.
아버지의 임종을 지키던 그 때, 고통스럽게 삶과 이별하는 그의 모습을 보며 도무지 어찌할 바를 몰랐던 내가 떠올랐다.
병원에 내가 도착했을 때, 이미 아버지는 의식이 없었고 각종 생명유지 장치들이 주렁주렁 아버지의 몸에 매달린 채 지속적인 경련에 떨리고 있었다.
그리고 사실 만약 의식이 남아 있었다고 해도 아버지는
'더 이상 의미가 없다면 용감하게 여기서 작별 인사를 하는 게 좋겠다'
랄지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상태가 애시당초 아니었고,
나는 그런 아버지에게 마지막까지 가해진 연명치료를 그저 바라 보는 것 말고는 도무지 아는 것이 없는 미성숙한 애송이였다.
지금 생각해 보면 무의식 속에서 마지막 그 시간들이 얼마나 고통스러우셨을까 싶은 생각이 들어 마음이 좀 먹먹했다.
멀쩡히 숨을 쉬며 살아가는 시간 속에 어떠한 의미와 목적이 없다면, 살아간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.
더 이상 흥미와 목적과 의미를 알 수 없게 된 직장 생활 속 나의 직무는 과연 내게 어떤 의미일까 라는 나의 요즘 화두에까지 옮아가는 질문이기도 했다.
"이번에 어떻게 잘 버틴다 해도, 앞으로 의미있는 시간을 보낼 수 있을지는 확신할 수 없어"
저자 폴은 도덕적 명상과 문학을 통한 간접 체험만으로는 과학과 도덕이 어떻게 교차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해결할 수 없었고
그의 화두였던 생물학, 도덕, 문학, 철학이 교차하는 곳은 의학임을 발견한다. 의학을 진지하게 고려해 본 적 없는 그가 의학도로 변모하는 지점이다.
그리고 그의 그런 고민들은 마지막 삶의 모습을 결정하는 그 순간에 그를 바라보는 모두가 숙연해지는 용감한 선택을 하도록 이끈다.
마지막 순간까지 우아함과 의연함을 잃지 않았던 그의 모습이 경의로웠다.
그리고 이 책의 백미라고 하자면 단연 저자 폴의 아내 루시의 에필로그일 것이다.
담담하게 써내려 간 폴의 글 이후에 나온 루시의 에필로그는 그보다 한층 더 담담한데,
그 담담함에 비해 글 속으로 완전히 빨려 들어가는 몰입감이 있다.
부부의 의연함과 서로를 향한 깊은 사랑.. 그러니 둘이 만나고 살았겠지 하는 생각이 들기도.
베스트셀러라 할 만 하다.
확실히 책은 종이책으로 읽어야 제맛이다.
이북으로 읽었더니 뭔가 좀 덜 끓인 매운탕을 맛보는 느낌.
역시 서점에 들러 종이책으로 넘겨 가며 다시 봐야겠다 싶다.
그냥 인터넷 서점에 주문을 할까 싶기도 하고.
---------
'리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택시운전사 리뷰 - 5월의 광주와 힌츠페터(스포無) (0) | 2017.08.07 |
---|---|
네이버 디스코(Disco) 리뷰 - AI 기반 콘텐츠 큐레이션 서비스 (0) | 2017.08.03 |
PS4 네트워크 인터넷 속도 향상 (4) | 2017.04.23 |
더 플랜 (The Plan, 2017) - 증명된 음모론 (0) | 2017.04.14 |
스포츠 블루투스 이어폰 제이버드 x2 사용기 - 수려한 음질과 기대이하의 통화품질 (0) | 2017.02.22 |